미국·독일·프랑스의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
페이지 정보
조회 480회 작성일 24-01-23 14:28
본문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제4차 정책토론, 해외 사례 분석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가 지난 18일 제4차 ‘메가프로젝트’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 해외 사례가 주로 논의됐다. 사진=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회장 강성호 순천대, 이하 인사협)가 지난 18일 제4차 ‘메가프로젝트’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유요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의 ‘인문사회분야 메가프로젝트 해외사례 분석’과 이주호 세한대 교수의 ‘메가프로젝트 평가 및 운영 거버넌스’ 발표를 중심으로 ‘인문학 메가프로젝트’의 필요성과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메가프로젝트란 넓게는 장기간·대규모 국책사업을 말하나, 연구 분야에서는 사회적·국가적 차원의 필요성과 위기 대응을 위한 장기간·대규모 연구를 뜻한다.
유요문 교수는 미국·독일·프랑스 등 주요 국가의 인문사회분야 메가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 국립인문기금(NEH)은 1965년 설립된 독립연방기관으로, 올해 기준 연 2만1천100만 달러(한화 약 2천780억 원)의 예산을 받는다. NEH는 이를 통해 미국의 공공을 위한 고등연구와 문화유산 보존과 인문학 연구, 예술·미디어·교육 등을 연결시키는 융복합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실존적 위협의 극복 과정이던 1970년대 냉전기부터 현대 디지털 인문학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엮는 형태로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독일연구협회(DFG)는 1920년 나치 독일 시기 우생학 등 파시즘 이념을 위한 대규모 연구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패전 후 과거 반성을 바탕으로 동·서독 통일 준비를 위한 국가 통합 과제, 디지털 인문학을 통한 미래 연구를 수행해왔다.
DFG는 정부 간섭이 없는 자율적 연구 풍토 아래 정부로부터 연간 35억 유로(5조500억 원), 인문·사회과학에는 5억 유로(7천200억 원)를 지원받는다. 이를 통해 대학은 최장 12년, 아카데미는 25년의 장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프랑스 인문사회연구소(INSHS)는 1939년 국립과학연구원(CNRS)으로 설립돼 국가단위로 통합, 국가 산하 중앙집권적 체제 아래 대형과제 등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예산은 3억9천만 유로(5천634억 원)다.
특히 INSHS는 각 대학의 인문사회연구소 통합센터인 ‘위마눔’으로 조직을 개편해 중앙조직인 INSHS의 ‘직접 관리’와 각 대학의 ‘위마눔’으로 나뉜다. 이 구조는 한국에는 없는 모델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INSHS는 국가가 직접 문제와 과제를 설정해 각 연구소에 과제 단위별로 연구를 하도록 하는 ‘능동적 탑-다운’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것은 국가의 디지털 인문학 환경-인프라 조성으로 학제 간 연구를 활성화했다.
유 교수는 이같은 해외 사례를 통해 인문학 메가프로젝트를 성공시키려면 △디지털 인문학 분야 연구 담당 거대 조직의 설립 △국가의 인프라 구축 및 연구 자율성 보장 △장기적·지속적인 재정 투입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능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김동혁 광주과학기술원 융합연구소장은 유 교수의 발표와 관련,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의 정의와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의 국책 프로젝트는 기술적 해법 위주의 방식으로 진행돼 왔으나, 이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학제 간 융합과 문제해결형 과제 해결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학제간 융합과 문제해결형 과제가 등장하는 이유를 고려해 인문·사회 분야를 포괄하는 근본적인 사고 전환으로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호 세한대 교수는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의 효과적인 평가와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인문사회 메가프로젝트 평가 체계를 전통적 방식인 논문 인용 수 등 ‘양적 평가’ 중심에서 ‘질적 성과’와 ‘사회적 영향’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문사회과학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후속세대 양성으로 관련 재원 활용과 인력 확보의 연계, 교육·사회 현장에서의 연구와 사회 참여가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운영 거버넌스 구축 방향은 메가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전략적 거버넌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메타 거버넌스’ 설계로 나뉜다. 이는 기존 정부 주도형 방식을 지양하고 분야별 사업단장과 전략적 의사결정기구를 중심으로 하위 연구 그룹과 협력 네트워크를 세분화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연구자 그룹 간 정보공유와 포럼을 국제네트워크로 확산시키고, 인문사회과학 연구 성과와 과학기술을 서로 통합시키는 조정 관리 그룹 및 관련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형성도 포함된다.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 이전글강성호 국립순천대 인문학술원장,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제4대 회장으로 선출 24.02.29
- 다음글인문사회 메가 프로젝트, ‘거대 위기’ 해결할 ‘열쇠’로 키워야 24.01.23